📚 책으로 걷는 시간 ⑰
1. 걷기 전에
인공지능(AI)은 더 이상 영화 속 미래가 아니다.
이미 우리 일상 속으로 깊숙이 들어와 생각하고, 추천하고, 판단한다.
그렇다면 20년 뒤, AI는 인간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?
기술은 인간을 대체할까, 아니면 돕게 될까?
카이푸 리와 천치우판이 함께 쓴 《AI 2041》은 이 질문에 대해 소설과 해설을 병행하며 AI의 미래를 실감나게 그려낸다.
나는 이 책을 읽으며 단순한 기술의 진보가 아닌, 인간과 윤리에 대한 본질적인 고민과 마주했다.
2. 마음에 남은 문장
“AI는 인간의 감정을 대체하지 않는다.
그러나 감정이 없는 효율이, 인간을 위협할 수 있다.”
AI가 아무리 똑똑해도, 슬픔을 공감하거나 사랑을 나누지는 않는다.
그러나 그것이 사람보다 더 빠르게 결정을 내릴 수 있다면, 과연 우리는 인간적인 가치와 윤리를 지켜낼 수 있을까?
기술이 무섭기보다 그 기술을 ‘어떻게 사용하느냐’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.
이 책은 그 메시지를 아주 실감나게 전해준다.
3. 책과 나의 대화
《AI 2041》은 10개의 소설과 그에 대한 해설로 구성된다.
이 소설들은 모두 실제로 가능한 미래를 바탕으로 쓰였다.
🌍 1. “이민의 문” – AI로 심사받는 난민
난민의 운명이 AI 알고리즘에 따라 결정되는 세계.
선량한 사람조차 데이터에 문제가 있으면 입국을 거절당한다.
이 이야기는 AI의 공정성 문제를 날카롭게 파고든다.
📌 → 나는 여기서 ‘정의’란 무엇인가를 다시 묻게 되었다.
AI가 아무리 정확하더라도, 사람의 사정을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다.
🧠 2. “아이작의 치료법” – 정서적 AI의 딜레마
자폐아 아이작을 위해 개발된 감정형 AI 치료 로봇.
아이는 이 AI에게 의지하며 성장한다.
그러나 문제는, AI는 언제나 곁에 있지만, 사람은 그렇지 않다는 것.
📌 → 진짜 위로는 기술이 줄 수 없는 영역 아닐까?
이 장면에서 나는, 기술이 ‘함께 있어주는 존재’로 여겨지는 현대인의 외로움도 떠올렸다.
💼 3. “AI 직업상담사” – 나는 어떻게 살아남을까?
10대 소년이 AI와 함께 자신의 진로를 상담하는 장면.
AI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“이 직업은 5년 내 사라질 것이다”라고 알려준다.
📌 → 여기서 나는 직면했다.
기술이 빠르게 바꾸는 사회 속에서 인간의 직업, 의미, 가치는 어디서 찾아야 할까?
4. 기술이 던지는 윤리적 질문
《AI 2041》이 특별한 이유는 단지 기술을 예찬하지도, 두려워하지도 않기 때문이다.
이 책은 기술을 통해 인간을 되묻는다.
- “AI가 당신보다 당신을 더 잘 안다면, 당신의 선택은 여전히 자유로운가?”
- “감정을 흉내 내는 AI와 대화하면서, 우리는 진짜 사람과 대화하고 있는가?”
이런 질문 앞에서 나는 답을 내리기보다, 더 오래 머무르게 되었다.
5. 인간이란 무엇인가
《AI 2041》을 통해 나는 인간다움이란 단순히 ‘사람인 것’이 아니라,
느끼고, 흔들리고, 실수하면서도 다시 사랑할 줄 아는 존재라는 사실을 깨달았다.
AI는 이성을 기반으로 움직이지만, 우리는 감정과 윤리, 그리고 ‘함께 살아간다는 가치’로 움직인다.
기술이 인간을 위협하지 않기 위해 우리는 기술보다 더 인간적인 것을 계속해서 잃지 않아야 한다.
6. 다음 걸음을 준비하며
2041년, 나는 어떤 모습으로 살고 있을까?
AI는 얼마나 우리 곁에 깊숙이 와 있을까?
그때에도 나는 여전히 책을 읽고, 사유하고,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을까?
카이푸 리는 기술이 인류를 위협할 수도 있지만, 사람이 중심에 선다면 AI는 우리를 더 나은 사회로 이끌 수 있다고 말한다.
오늘도 나는 걷는다.
미래를 두려워하지 않기 위해, 그리고 더 인간답기 위해.
기술과 함께, 그러나 사람으로서.
📌 태그
AI 2041, 카이푸 리, 인공지능, 기술과 인간, 미래사회, 디지털 윤리, 감성 독서, 책으로 걷는 시간, 디지털 나그네, AI와 공존
'🧭 Life > 책으로 걷는 시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《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》 – 무게와 가벼움 사이의 인간 (1) | 2025.05.16 |
---|---|
《소크라테스의 변명》 – 성찰 없는 삶은 살 가치가 있는가 (0) | 2025.05.16 |
《연을 쫓는 아이》 – 죄책감, 용서, 그리고 다시 날리는 희망의 연 (0) | 2025.05.14 |
《정의란 무엇인가》 – 옳은 삶에 대하여 (0) | 2025.05.14 |
《천 개의 찬란한 태양》 – 아프가니스탄 여성의 희망과 투쟁 (1) | 2025.05.13 |